중고령중증장애인 지역사회 통합돌봄체계 구축

마실프로젝트
1. 사업개요

1. 사업기간

2020.5~2024.4(3년) 


2. 사업 참여 기관(백본) 및 참여자

중고령중증장애인 10명, 보호자 10명, 시의회, 백본조직 6개기관, 부산시, 북구청, 한국거래소


3. 사업 내용

  • 중추조직 구성 및 운영 
  • 중고령중증장애인 통합돌봄센터 공간확보 노력 
  • 조례제정 준비 활동 (여론형성, 토론회, 당사자 베이스 라인 조사, 언론활동) 
  • 중고령중증장애인통합돌봄센터 시범운영 
  • 중고령중증장애인 지원조례제정(언론활동, 부모회활동, 조례제정 활동) 
  • 중고령중증장애인통합돌봄센터 시범운영 및 안정화 
  • 모델확산 활동(발달장애인모형, 타시도 확산) 
  • 중고령중증장애인 지원조례 제정


4. 주요 성과 

  • 백본의성장 및 참여 이용자 및 보호자의 성장
  • 중고령중증장애인을 위한 정책 및 제도 마련
  • 타시도사업 확산 (대전밀알복지관, 서울시 동작구의회, 양산기관, 타 자치구 등 다수)
  • 백본참여기관들 기관 자체 사업 및 타 기관협력사업에 CCI 접근 시도 노력

2. 지역사회의 문제
중증장애인 “여기선 장애, 저기선 나이” 
아젠다의 출발
아젠다 형성

: 아젠다 발굴 및 공유과정(2019년)


3. 지역사회의 변화 : 사업의 성과

1) 백본의 성장 - 내부적 관점

2) 백본의 성장 - 외부적 관점

1차년도 

2019년~2020년 


*컨소시엄 참여기관들 간 긍정적 팀워크가 잘 느껴짐.  


*다양한 분야의 기관들이 활동하는 백본이므로, 백본을 관리하는 방법도 함께 고민 


*CCI 사업은 사업진행 과정에서 참여기관들의 사업이 어떻게 상호 엮이면서 최종 성과 방향 고민 필요 


2차년도 

2020년~2021년


*마실센터 개소 이후 운영 안정화를 위해 노력함. 기관간 협업과 충분한 의사소통이 확인됨. 


*참여기관들은 1차년도 사업 수행결과를 통하여 자신감을 가지고 있음. 


*CCI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백본 기관별로  중고령중증장애인통합돌봄센터 사업과 직간접으로   연계 가능한 사업들을 진행하며 중고령 장애인들에 대한 지역사회통합돌봄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현실적 접근을 모색 (중고령중증장애인 통합돌봄 발달장애인 모형 확산 / 발달장애인자립지원 사업 CCI 적 요소 도입 / 장애인 주간활동 서비스 뇌성마비장애인 지원을 위한 제도 개선 노력 )


3차년도

2021년~2022년


*2차년도(+3차년도)의 주요사업방향은 제도화 과정이라 할 수 있음. 


1) 내부적 제도화 : 마실운영과 관련된 프로그램 마련, 매뉴얼 마련, 구청 및 시청과의 관계설정(재정지원)


2) 외부 확산적 제도화 : 관련조례 마련, 재원 확보, 발달장애인 모형 확산 

3) 지역사회의 변화

(1) 긍정적 여론 형성

부산시민 대상 장애인식개선 교육을 병행한 서명운동으로 중고령중증장애인 정책에 대한 관심 고취(4,611명) 

(2) 주 참여자들의 변화

장애인부모들의 비판적 요구에서 주체적 참여로 변화

(3) 참여 이용자와 보호자들의 변화 

자녀의 독립적 변화, 심리적 안정, 가족의 일상 변화, 장애인부모들의 비판적 요구에서 주체적 참여로 변화, 센터에 대한 높은 만족도

(4) 제도의 변화

부산시의 중고령 장애인에 대한 지원 방안 마련 노력 견인

(5) 조례제정

중고령중증장애인 지원 조례 제정


4. 지역사회의 변화 과정


커뮤니티 컬렉티브 임팩트(Community Collective Impact: CCI)  사업 

부산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역이슈기반 사업으로 뭉친 6개 기관




연차별 사업내용


CCI마실센터 배치도



지역사회통합돌봄체계 구축 중장기 계획 

■ 기간 : ‘21. 6. ~ ’22. 2.

■ 3차년도 확대 모형 

- 보건복지부 장애인거주시설의 지역사회전환 시범사업 선정(2021. 8. 27.) 되어,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모델 개발을 진행하게 되었음. 

- 백본기관 부산발달장애인지원센터, 복지관 등과 협력하여 후속사업 추진 

- 시범사업과 연계하여 3차 년도 사업추진 

- 시범사업 초기 협력, 백본회의에서 설명, 지역사회협력단 참여, 전담인력 채용


■ 주요 내용 

- 40세 이상 중고령발달장애인 30명을 대상으로 거주시설을 제공하는 소규모 공간 마련하고, 22명에게 지역사회 내 체험시설, 거주시설 등 다양한 인프라를 구성할 것임. 

- 센터 이용자를 포함해 지역사회로 나가는 발달장애인의 경우 의사소통 문제와 생애 라이프 스타일을 알지 못하면 서비스 지원의 어려움이 있음. 이에 평화의 집 인근 부지 내 건물을 지어 지역으로 나가는 센터 이용자를 포함해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주간활동 서비스, 통합돌봄센터 혹은 또 다른 형태의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임. 


부산뇌병변복지관과  6개 기관이 함께 수행한 성과체인을 약식으로 그려보면 아래의 그림과 같다.



  • 성과A : 부산뇌성마비장애인부모회, 부산참여연대, 부산진구자원봉사센터 
  • 성과B : 부산뇌병변복지관
  • 성과C : 부산뇌성마비장애인부모회, 부산뇌병변복지관
  • 성과D : 부산참여연대, 부산뇌병변복지관
  • 성과E : 부산광역시발달장애인지원센터, 부산뇌병변복지관
  • 성과F : 부산뇌병변복지관, 한국거래소 국민행복재단
  • 성과G : 부산뇌병변복지관, 평화의집
  • 성과H : 부산참여연대, 부산뇌병변복지관, 부산뇌성마비장애인부모회 
  • 성과I : 부산뇌병변복지관, 부산시의회 , 부산시 장애인복지과

5. 지역사회로의 확산

1) 사업의 확산


가. 서울 사회복지공동모금회  CCI 접근 계획 

나. 대전밀알복지관 CCI 사업 적용 노력 

다. 서울시 동작구의회 중고령중증장애인 지원 조례 제정 

라. 백본 참여기관들 기관 자체 사업 및 타 기관협력사업에 CCI 접근 시도 노력

2) 사업의 영향


부산시 중고령중증장애인 지원조례제정 이후의 실질적 정책 반영을 위한 노력과 

더불어 <백본의 새로운 아젠다> 설정


새로운 아젠다 >> 부산시립장애인치과병원 설립 및 제도 개선 

부산지역 중증장애인의 건강권과 복지를 위해 지속적인 재정지원이 필요한 중증장애인 치과진료 분야에 재정과 행정적으로 독립된 치과병원 설립이 필요하다

관련 콘텐츠

BUSAN CCI

 (BUSAN COMMUNITY COLLECTIVE IMPACT)


주소 주소 부산시 동래구 낙민로25, 

부산사회복지종합센터 506호(우)47880 

대표번호 051-506-6633~4

이메일 busan-cci@naver.com


©BUSAN CCI. All Rights Reserved. SITE BY 산책


BUSAN CCI (BUSAN COMMUNITY COLLECTIVE IMPACT)

주소 (47880) 부산시 동래구 낙민로25, 부산사회복지종합센터 506호  전화 051-506-6633~4  이메일 busan-cci@naver.com

© BUSAN CCI. All Rights Reserved. SITE BY 산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