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소시엄 멤버 회원가입 →
2019년
남산동 진** 어르신과의 만남
문제의식
(치매)노인, 우리도 고민이야!!
다양한 기관에서의 파편적 활동 공유
1. 남산동행정복지센터
- 진**어르신 공동사례관리
- 지역주민들 민원 어떻게 해야할까요
- 주민들의 이해가 필요한 것 같아요
2. 금샘지역아동센터
- 아이들 잘 키우기 위해 만든 부모공동체
- 아이들이 성장하고 지역을 떠나는 중
- 아이들만 잘 사는 마을이 답일까?
- 마을엔 노인이 많아요
3. 대한노인회금정지회
- 경로당 이용어르신간 싸움과 갈등
- 동료들로부터 배제되는 이유가 치매
- 조직된 자원봉사단 치매간이검사 실시
4.부산가톨릭대학교
- 치매문제해결 전문성 강화의 필요
- 노인복지보건학과와 협약하여 치매예방프로그램 자원봉사활동 중
- 학생들이 인지활동프로그램 개발
- 치매전문학사과정 개설
2020년 수립 성과체인
2022년 수립 성과체인
치매노인 및 가족
인터뷰조사
치매친화적 마을에 대한 키워드 증가
- 남산동 지역적 특성의 강점
- 지역 내 치매안전망 지원에 대한 인식 확대
- 지역 돌봄과 보호시스템의 지속 인식확대
- 주민이 역할인식 증가와 활동연계
지역주민
치매태도 치매인식조사(600명)
지역사회건강조사 중 사회물리적환경조사
- 치매태도 3차년도 기준선대비 6점 향상
- 치매인식 3차년도 기준선 대비 7.3점 향상
- 이웃상호신뢰감 3차년도 기준선대비 7.6%향상
- 이웃상호부조 3차년도기준선대비 2%향상
- 이웃안부확인 3차년도 기준선 대비 46%달성
품앗이돌봄공간조성
주민조직 형성
- 돌봄공간 3곳 개소
- 주민조직 (연령별 메모리키퍼 / 동행인)
백본기관
- 백본기관의 기능변화와 네트워크 지속의지
- 기관의 주 이용대상 확대
- 치매문제해결 역할을 위한 자체 예산 편성과 역할정립
공공의 문제해결의지 확대
- 금정구통합돌봄사업으로 협력적 수행
- 다원쉼터 확대를 위한 제안과 제도적 지원 (금정구청/서2동 공간제안)
예산 조성
- 백본기관 자체 예산반영
- 부산시 공모사업 선정
-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동협의체 예산반영
- 타 네트워크사업 참여와 지원
- 지역주민 역할인식확대 참여의지 (이웃돌봄체계,정보제공자)
- 아동-중장년 주민의 노인에 대한 이해와 세대 간 통합
- 주민활동가조직의 확대(인지활동가, 동행인)
지역사회 동단위 확산
- 청룡노포동 내 다원네트워크 모델 금정구치매안심센터주도 시범 운영과 정착 (인지활동가양성,동행인데이, 동행인가게발굴 등)
- 서2동 다원쉼터 개소와 운영
- 금사동인지활동가 활동 지역확대
- 쉼터운영을 위한사회서비스형 노인일자리사업단 연계(부산광역시 구상사업)
노인복지관 인지기능사업 변화 모델제시
- 개별인지기능향상프로그램 중심실천에서 지역사회 변화와 주민 참여 필요성 제안
- 보건복지부 전국노인복지관 평가 우수실천사례 대상
-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인지기능향상프로그램 우수
- 부산광역치매센터 주관 치매 극복의 날 민관협력 최우수
1차년도
백본조직 및 협력기관
금샘지역아동센터
금정구노인복지관
남산동행정복지센터
대한노인회금정구지회
부산가톨릭대학교 노인복지보건학과
다함께돌봄센터금샘아이꿈마당 (하반기확대)
머드레행복마을추진협의회 (하반기확대)
국민건강보험공단금정지사 / 금정우체국
소프트앱 / 금정경찰서범어지구대
2차년도
다함께돌봄센터금샘아이꿈마당
머드레행복마을추진협의회
금샘마을공동체
국민건강보험공단금정지사 / 부산한의사회
금정구청/소프트앱 / 금정경찰서범어지구대 / 선배시민조직
3차년도
백본기관 및 협력기관
국민건강보험공단금정지사 / 부산광역시한의사회
소프트앱 / 금정경찰서범어지구대 / 선배시민조직
부산광역시약사회금정구분회/금정구청
백본기관별 고유목적과 기능 중
사업수행을 위한 역할(사업)계획
- 새로운 주민조직의 참여와 이에 따른 역할배분
- 최종성과를 이해 공유하며 조직참여 강화
- 참여기관들의 역할 인식 확인
지속가능성을 위한 노력
매년 워크숍을 통한 성과목표 확인
성과관리를 위한 기관별 사업계획수립
- 1차년도: 공동사업 추진과 공동과업수행
- 2차년도 : 각 기관별 실행력 확대를 위한 백본기관별 역할수행과 상호지원
- 3차년도: 부분협력과 상호지원
어떻게 만나고 무슨 논의를 했을까요?
사업진행을 위한 상호이해와 합의의 중요성
- 월 1회 백본회의를 통해 사업수행방안 논의
- 백본회의 참석자는 기관 의사결정권자와 함께
- 공동과업에 대한 역할 배분
2. 중추조직의 백본기관방문
- 수시방문을 통해 사업에 대한 역할인식
- 협력적활동을 위한 의견수렴
- 행정적지원과 안내
4. SNS 활용
- 일정협의와 진행과정에 대한 공유
- 백본기관 또는 담당자들간 소통
4. 앱을 통한 활동공유
- 구축된 앱을 통해 주민활동 소식공유
- 다원네트워크 활동안내 및 결과공지
*자유로운 소통, 상호존중과 수용적 분위기 - 상호성장과 배움의 기회*
중추조직은 어떤 역할을 하나요?
1. 컨소시엄 총괄 및 비전제시
- 예산배분
- 사업수행지원 및 총괄관리
- 중추조직 참여자의 목표인식
2. 수평적 리더십
- 공동목표 달성을 위한 방향성 검토와 활동내용 조정
- 지역사회에 대한 공통관심과 이해
- 상호소통 강조와 수용성
- 상호성장의 기회
3. 신속한 의사결정
- 기관장의 의사소통 참여로
논의사항의 신속한 결정과 추진 가능
자세히보기
BUSAN CCI
(BUSAN COMMUNITY COLLECTIVE IMPACT)
주소 주소 부산시 동래구 낙민로25,
부산사회복지종합센터 506호(우)47880
대표번호 051-506-6633~4
이메일 busan-cci@naver.com
©BUSAN CCI. All Rights Reserved. SITE BY 산책
BUSAN CCI (BUSAN COMMUNITY COLLECTIVE IMPACT)
주소 (47880) 부산시 동래구 낙민로25, 부산사회복지종합센터 506호 전화 051-506-6633~4 이메일 busan-cci@naver.com
© BUSAN CCI. All Rights Reserved. SITE BY 산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