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ective Impact

Community Collective Impact(CCI)는
Collective Impact모형에 Community 접근을 추가한 지역사회문제해결 전략이다.

CI(Collective Impact)는 2011년 미국 유명 사회혁신잡지인 Stanford Social Innovation Review를 통해 처음 등장한 개념이다. CI접근에서는 특정한 사회문제해결을 위하여 다양한 부문의 구성원들이 참여한다. 이들의 집합적인(Collective) 노력을 통해 하나의 영향(Impact)을 만들어 낸다(Kania&Kramer, 2011). CCI는 지역사회(Community)와 CI(Collective Impact)를 결합한 것이다. CCI와 CI의 가장 큰 차이는 지리적 경계를 의미하는 지역사회나 공동체를 사업특성에서 강조하는 정도에서 나타난다.


CCI 접근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19년 지역이슈기반 배분사업에 대한 기획에서 등장한 것으로 지역사회 기반으로 학계와 실천현장이 함께 CI사업을 실행하는 과정을 통해 개발되었다.



CCI 사업

지역사회(Community)를 기반으로 집합적인(Collective) 협력을 통한 특정 문제에 대한 영향(Impact)산출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CCI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및 진단, 다양한 기관 간 연계·협력에 대한 이해, 지역사회 내 효과를 창출하기 위한 특정문제에 대한 이해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1.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기존 접근법의 한계 

지역사회에서 해결해야 하는 복지문제는 점차 복잡해지고 있다. 단순히 경제적 자원 투여나 특정한 프로그램 제공만으로는 해결이 어려운 문제가 지속해서 지역사회에 등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실업이나 질병 같은 단일문제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실행되었던 기존 지역사회에서의 복지 접근법은 실효성을 잃어가고 있다. 대신 오늘날과 같이 복잡한 지역복지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제에 대한 접근방식 자체의 전환이 필요하다.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기존 접근방식은 주로 전문가들이 특정 문제를 발견하고 진단한 후, 이에 따라 대응방안을 마련하여 실행하는 방식의 단선성(單線性)을 특징으로 하였다. 이는 특정 대상의 문제를 세분화하고 이를 개별화시켜 해당 전문직에게 맡겨 해결하도록 하는 방식이다.그런데 이처럼 단선적인 접근방식은 복잡한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분명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과거와는 달리 현재 우리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사람들의 문제는 물질적 빈곤 등과 같은 단순한 문제의 근원으로 회귀할 수 없는 성격의 것이 되고 있다.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는 비록 표출된 필요(needs)의 유형은 단순하더라도, 그것을 해결하는데 개입되어야 하는 자원들은 복잡하게 분산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존 ‘특정 대상과 특정 문제 중심의 단선적 문제해결 접근’을 넘어서는 새로운 문제해결 접근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2. 지역사회 변화를 위한 새로운 접근 방법의 등장 : 콜렉티브 임팩트 접근 

사회 문제들의 성격과 원인, 대응방법이 보다 복잡해지게 되는 것은 우리나라에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후기산업사회의 대부분 나라들에게 경험하고 있는 문제다. 그에 따라 이처럼 복잡해지는 지역사회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들이 2000년대 이후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지역사회와 민간 자발적 영역(voluntary sector)의 역할을 강조해왔던 미국과 같은 사회에서는 다원, 다층화된 사회적 역량을 협업(partnership)체계로 묶어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전개되어 왔다. 


이 중 대표적인 접근이 Collective Impact(CI)모형이다. Collective Impact(CI)접근은 지역사회 문제해결 필요성을 공유하는 다양한 유형의 기관들이 문제해결형 네트워크를 형성해서 지역사회의 특정 문제해결에 나서는 방식이다.


3. CCI 접근의 핵심 구성요소

*CCI사업을 성공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5가지 조건이 있다.

1. 공동의제설정 (Common Agenda)

모든 참여자(조직)는 직면한 문제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공통의 목표와 비전을 설정한다.

2. 공유 성과측정체계 (Shared Measurement Systems) 

참여자(조직)들이 사업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함께 설정하고 설정된 지표에 대해 동일한 측정기준을 적용할 수 있도록 공유하고 합의한다.

3. 상호 강화 활동 (Mutually Reinforcing Activities)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각자의 차별화된 역할과 활동을 수행하되 참여자(조직)들 간 활동을 조정하고 지원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4. 지속적인 의사소통 (Continuous Communication)

지속적인 의사소통을 통하여 신뢰를 구축하고 관계를 강화하여 갈등관리 및 최종목적 확인을 가능하게 한다.

5. 중추조직 지원(Backbone Support Organizations)

참여자(조직)들이 상호연대하고 결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활동들을 주도하고 촉진하는 독립된 조직을 형성한다.


국내외 실제 사례 및 유관 기관
관련 콘텐츠

BUSAN CCI

 (BUSAN COMMUNITY COLLECTIVE IMPACT)


주소 주소 부산시 동래구 낙민로25, 

부산사회복지종합센터 506호(우)47880 

대표번호 051-506-6633~4

이메일 busan-cci@naver.com


©BUSAN CCI. All Rights Reserved. SITE BY 산책


BUSAN CCI (BUSAN COMMUNITY COLLECTIVE IMPACT)

주소 (47880) 부산시 동래구 낙민로25, 부산사회복지종합센터 506호  전화 051-506-6633~4  이메일 busan-cci@naver.com

© BUSAN CCI. All Rights Reserved. SITE BY 산책